유선 이더넷 네트워크와 다르게 무선 네트워크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바로 유선과 다르게 collision detection이 안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에는 아래와 같이 3가지가 있다.Fading and Signal Strength Variations무선시그널은 거리에 매우 취약하다. 장애물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신호 강도가 계속해서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을 경우 collision을 탐지하지 못할 수 있다.Hidden Node ProblemA, B, C 3가지 디바이스가 있다고 할 때 A,B,C는 서로의 통신이 안되는 상태이다. 이때 A와 B가 동시에 C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면 C에서 collision이 발생하지만 a,b는 collision 이 발생했는지 알 길이 없다. 이때 ..
Computer Science/Network
지난 강의까지 네트워크 레이어를 다루었다. 이번시간부터는 링크레이어를 다룬다. 여러 클라이언트가 게이트웨이 라우터에 함께 진입한다. 이때 네트워크 계층에서 패킷을 보내면 도식화된 그래프처럼 한 줄로 쭉 연결되서 가는 것이 아닌 여러 컴퓨터들이 네트워 계층에 물려 진행된다. 이때 서로 다른 클라끼리 collision이 발생하여 신호가 섞일 수 있다. Link 레이어는 클라끼리 충돌발생을 막는 역할을한다 혹은 충돌이 발생했을 때 문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일이 링크레이가 맡는 가장 주요한 일이다. 트랜스포트레이어와 네트워크레이어는 OS내부에 코드로 구현되어 있다. 링크레이어부터는 하드웨어 단으로 가는데 바로 Network Interface Card(NIC) 에 위치하고 있다. 링크레이어는 프레임을 내려보낸..
이전의 Transport 레이어까지 세그먼트를 보내는데 있어서 유실되면 다시 재전송하는등 어떻게 reliable한 transfer를 할 것 인가에 집중했다면 IP부터, 즉 Network 레이어부터는 어떻게 패킷을 receiver에 안전하게 보낼 것인가에 대해 다룬다. 따라서 네트워크레이어의 IP는 패킷을 어떻게 목적지까지 배송할 것인가라는 역할을 맡는다. 이전에 말한 것처럼 라우터가 패킷을 받으면 패킷을 검사하는 시간을 가진다. 여기서 패킷의 목적지, 헤더의 checksome을 통해 에러 유무를 확인한다. 여기서 소요되는 시간을 Processing Delay 라고 배웠었다. 결국 라우터의 핵심적인 일은 패킷을 받으면 어디로 패킷을 보낼지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올바른 목적지로 쏘는 작업을 fo..
목차1.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1.2 네트워크의 가장자리1.3 네트워크 코어1.4 패킷 교환 네트워크1.5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1.6 공격받는 네트워크1.7 컴퓨터 네트워킹과 인터넷의 역사1.8 요약1.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인터넷은 두가지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구성 요소(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어떻게 되어있는지와 인프라 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이다. 각 방법을 통해 인터넷이란 무엇인지 살펴보자. 인터넷 구성요소 인터넷은 스마트폰, 컴퓨터와 같은 장치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장치를 호스트 혹은 종단시스템(end system) - 호스트는 때때로 클라와 서버로 구분된다 - 이라고 부른다. 종단시스템은 통신 링크(Communication Link)와 패킷 스위치(Packet Switch)..
현실 TCP 통신은 패킷 하나하나만 주고받는게 아닌 우르르 패킷을 보내고 또 우르르 패킷을 받는 파이프라인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한다. 파이프라인 프로토콜의 대표적인 규칙은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토콜이 있고 여기에는 go-back-N 과 selective repeat 두 가지 동작방식이 있다. (TCP는 ARQ보다 좀더 발전된 방식 사용) Pipeline protocol을 준수하여 정보를 한 번에 여러개를 보내게 된다고 했을 때 보내지는 대량의 정보에 대해 무작정 보내는 것이 아닌 일종의 기준이 있다. 이때 Go-Back-N 방식은 sender에서 전송할 패킷의 개수를 정하는 방식이다. 이때 전송자가 보낼 수 있는 연속적인 패킷의 최대 개수 기준이 있는데 이를..